본문 바로가기

2025 납세증명서 발급 신청법, 제출 서류부터 위임 방법까지 총정리

정보 유출러 2025. 3. 10.

납세증명서는 납세 의무자의 세금 납부 여부를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로, 개인과 법인 모두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본 글에서는 납세증명서 신청 자격, 제출해야 할 서류, 신청 방법, 발급 기관 등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신청 자격

지방세-납세증명서

납세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납세의무자: 대한민국 내 세금 납부 의무가 있는 개인 및 법인(내국인·외국인 포함)
  • 본인 신청: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필요 (법인의 경우 대표이사)

📌 신분증의 범위: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증 또는 여권

 

↑ 위 버튼을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 

📝 납세의무자가 사망한 경우

  • 상속인 신청 가능: 단독 신청 가능하며,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제적등본신청인의 신분증 제출 필요
  • 제3자 신청: 신청인의 신분증과 상속인의 위임장 필요

 

📌 제3자의 발급 신청

지방세-납세증명서

납세의무자가 직접 신청할 수 없는 경우, 위임을 받은 제3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납세의무자의 위임장 (서명 또는 날인 필수)
  • 위임자의 신분증 사본
  • 위임받은 자의 신분증

법인의 경우: 위임장과 함께 법인 인감증명서 사본 제출 (단, 대표이사가 직접 신청 시 위임장 불필요) 법인등기부등본은 별도로 제출할 필요 없이 민원24(www.minwon.go.kr) 또는 e하나로민원(www.share.go.kr)에서 확인 후 발급됩니다.

 

2. 제출 서류

  • 개인 신청: 신분증(사본 가능), 위임장(제3자 신청 시)
  • 법인 신청: 법인 인감증명서(사본), 위임장(제3자 신청 시)
  • 법인 대표이사 직접 신청: 위임장 및 법인 인감증명서 불필요

 

📌 신청 불가능한 경우

  • 신청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단, 법정대리인이 자격 증빙 후 신청 가능)
  • 위임자의 서명이 없는 위임장을 제출한 경우

 

3. 신청 방법

지방세-납세증명서

납세증명서는 방문 신청 또는 인터넷 신청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방문 신청

  • 전국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본인 확인 후 즉시 발급 가능

 

💻 인터넷 신청

  • 정부24(www.gov.kr)에서 신청 가능
  • 납세의무자의 주소, 성명, 영업장소, 증명서 사용 목적 등을 입력하여 신청

 

↑ 위 버튼을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 

4. 발급 기관 및 처리 절차

전국 어디서나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시 즉시 출력이 가능하며, 방문 신청 시 담당 공무원의 확인 후 발급됩니다.

  • 전국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정부24에서 24시간 인터넷 신청 가능

 

마무리

납세증명서는 세금 납부 여부를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로, 본인 또는 위임받은 사람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방문 또는 정부24를 통해 간편하게 발급받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