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내일저축계좌 해지 하실거라면 이것만 꼭 알아두세요! (+ 만기 금액, 이자, 해지방법)

정보 유출러 2025. 1. 9.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정책성 저축 상품으로,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 지원금을 더해주는 매력적인 제도입니다.

 

저도 이 계좌에 가입해 현재까지 열심히 저축 중인데요.

 

하지만 만기가 가까워지면 자연스럽게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

"만기 때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해지 절차는 어떻게 진행될까?"

 

그래서 오늘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만기 금액, 이자, 그리고 해지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자산형성 상품으로,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합니다.

 

저는 20대 후반부터 이 계좌를 활용하며 제 첫 자산 형성의 발판으로 삼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소득 수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뉩니다.

  • 차상위 이하: 만 15세~39세, 월 10만 원 이상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 차상위 초과: 만 19세~34세, 월 50만 원 초과~230만 원 이하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금액과 이자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만기 금액은 내가 저축한 금액에 정부 지원금과 이자가 더해져 계산됩니다. 3년간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아래와 같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차상위 이하: 근로소득장려금 월 30만 원 지원 + 최대 연 5% 이자 → 최대 1,534만 원
  • 차상위 초과: 근로소득장려금 월 10만 원 지원 + 최대 연 5% 이자 → 최대 767만 원

제가 차상위 초과 기준에 해당하기 때문에, 만기 때 약 767만 원을 받을 예정입니다.
적지 않은 금액이라 정말 뿌듯하더라고요.

 

청년내일저축계좌 해지 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후 해지는 계좌를 개설한 은행의 앱에서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하나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했는데, 하나은행 앱 기준으로 해지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계좌관리 메뉴 선택

청년내일저축계좌

앱의 [계좌관리] 메뉴로 들어갑니다. 여기에서 [해지/해지예상조회]를 선택하면 현재일 기준 예상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만기 기준 금액 확인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일 기준] 옵션을 선택하면, 현재까지 납입한 금액이 만기일까지 유지되었을 때 받을 금액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만기 예상 금액을 볼 때마다 더 열심히 저축하고 싶더라고요!

 

3. 해지 신청 진행

청년내일저축계좌

[계좌해지]를 선택하고 예금 잔액 내에서 해지할 금액을 입력한 뒤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마지막으로 해지 사유를 선택하고 금액을 입금받을 계좌를 지정하면 됩니다.

 

4. 본인 인증 후 완료

본인 인증 단계를 거치면 해지가 완료됩니다. 해지된 금액은 지정한 계좌로 입금됩니다.

 

중도해지 주의사항

참고로 만기 전에 해지를 원할 경우, 사전에 관련 기관에 신청해야 하고, 정부 지원금은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이런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꼭 만기까지 유지할 계획입니다.

 

맺음말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만기 금액과 해지 방법을 잘 이해하고 계획적으로 활용한다면, 더 알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가요? 만기 후 받을 금액은 얼마나 예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