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봇대 번호의 숨겨진 기능! 전신주로 거리 재고 위치 알리는 법
길을 걷다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전봇대입니다.
하지만 이 전봇대가 단순히 전선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만 생각하셨다면 놀라운 사실을 하나 알려드릴게요.
전봇대에는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위급한 상황에서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도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전봇대의 간격과 전봇대를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전봇대가 얼마나 유용한지 알게 되면, 앞으로 길을 걸을 때 한 번쯤 관심 있게 살펴보게 될 거예요!
목차
1. 전봇대의 간격을 이용한 거리 측정

우리나라에는 약 850만 개의 전봇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역에 따라 전봇대 간격이 다릅니다.
- 🏙️ 도심 지역: 전봇대 간격이 약 30m 정도
- 🌾 농촌 지역: 전봇대 간격이 약 50m 정도
💡 활용 꿀팁: 길을 걸으며 전봇대의 개수를 세면 대략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도심에서 10개의 전봇대를 지나쳤다면 약 300m를 걸었다고 볼 수 있죠.
2. 전봇대를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
전봇대에는 전주번호찰이라는 표식이 붙어 있는데,
이 번호만 알면 경찰이나 소방서가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전주번호찰이란?
- 전봇대에 부착된 위치 정보 표식
- 전봇대가 설치된 정확한 좌표(위도·경도) 정보 포함
- 112 또는 119 신고 시 위치 확인 가능
💡 긴급한 상황
주변에 전봇대가 있다면 전주번호찰에 적힌 8자리 숫자를 신고하면 구조대가 빠르게 출동할 수 있어요.
3. 전주번호찰 읽는 방법

전봇대 위쪽을 보면 8자리 숫자 + 알파벳 + 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전주번호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9497B821
숫자 구분 | 설명 |
94 | 위도 정보 |
97 | 경도 정보 |
B821 | 세부 전봇대 위치 |
즉,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해당 전봇대가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번호예요.
이 번호만 있으면 경찰과 소방서는 신고자의 위치를 거의 25m 이내로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4. 전봇대의 선로명칭과 번호 체계

전봇대에는 번호뿐만 아니라 선로명칭도 함께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간 19 L3 R2라는 표식이 있다면?
- 삼성간: 주변 지역 명칭
- 19: 해당 구역에서 19번째 전봇대
- L3: 왼쪽으로 분기한 후 3번째 전봇대
- R2: 오른쪽으로 분기한 후 2번째 전봇대
💡 즉, 삼성간 지역의 19번째 전봇대에서 왼쪽으로 3개를 지나고 다시 오른쪽으로 2번째 있는 전봇대라는 뜻입니다.
5. 전봇대 정보, GPS보다 정확하다?
위치 추적 방식 | 오차 범위 |
스마트폰 GPS | 도심 : 500m, 외곽지역 : 약 2~3km |
전봇대 전주번호찰 | 약 25m 이내 |
위급한 상황에서 흔히 스마트폰 GPS로 위치를 확인하지만,
전봇대 번호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정확합니다.
💡 즉, 전봇대 번호를 신고하면 구조대가 골목까지 정확하게 찾아올 수 있습니다.
반면, GPS는 건물 밀집 지역에서는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요.
6. 전봇대 전단지 부착, 위험한 이유
전봇대에 광고 전단지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 전단지가 전주번호찰을 가리면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요청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전봇대 광고 부착 시 500만 원 이하 벌금
- 전주번호찰이 가려지면 긴급 출동에 지연 발생
💡 전봇대 번호는 생명을 살릴 수도 있는 정보이므로, 전단지를 함부로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7. 전봇대가 없을 때 위치 확인 방법
만약 주변에 전봇대가 없다면 다음 방법을 활용하세요.
- 국가지점번호: 산속이나 도로변에 설치된 번호를 확인
- 맨홀뚜껑 번호: 도심에서는 맨홀 번호로도 위치 확인 가능
💡 전봇대가 없을 때는 국가지점번호나 맨홀뚜껑의 번호를 활용하여 위치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전봇대는 단순한 전선 지지대가 아니라 우리가 길을 찾거나, 위급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할 때 매우 유용한 정보가 담긴 구조물입니다.
✅ 전봇대 간격을 활용해 거리 측정하기
✅ 전주번호찰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 알리기
✅ 광고 전단지가 전주번호찰을 가리지 않도록 주의하기
앞으로 전봇대를 지나칠 때 한 번쯤 위쪽을 올려다보고 전주번호찰을 확인해보세요.
언젠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스마트폰 누끼 따기! 갤럭시 기본 기능으로 배경 제거하는 방법 (포토샵 X) (0) | 2025.03.18 |
---|---|
홈플러스 포인트 적립부터 현금화까지 활용법 총정리 (1) | 2025.03.13 |
교육비 할인 신용카드 TOP 4! 학원비 통신비 생활비 혜택까지 (1) | 2025.03.12 |
2025 구례 산수유축제 개화 시기 축제 일정 총정리 (+ 포토존 추천) (1) | 2025.03.11 |
간병인보험 비교! 삼성 교보 한화 메리츠, 어디가 유리할까? (0) | 2025.03.11 |
댓글